Packet
✅ 패킷
☑️ 회선 교환방식
정보를 전달하는 동안 계속해서 회선을 점유하는 방식
👎🏻 회선을 이용한 정보 전달의 한계: 회선을 점유하니 이미 연결중인 장치는 또 다른 장치와 연결을 할 수가 없음.
☑️ 패킷 교환방식
주고받는 정보를 ‘패킷’이라고 하는 작은 소포로 만들어 나누어 전송하기
컴퓨터가 한 번에 여러 패킷 수진, 전송 가능
☑️ 패킷 구조
- Header: 프로토콜, mac address, IP address, Port
➖ mac address: 네트워크 이용하는 장비의 고유 식별자(주소)
➖ IP address: 인터넷, 로컬 네트워크에서 장치들의 식별자(주소)
➖ Port: 네트워크 포트는 네트워크 장치의 데이터를 주고받는 통로, 특정 프로세스와 통신하는데 사용되는 번호 - Body: 보내고자 하는 정보가 작은 단위로 나뉘어 저장되어 있음
➖ body protocol안에 HTTP 들어있음 ⬅️ 개발자가 이것을 바꿈
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.0 by the author.